본문 바로가기

장위 뉴타운 재개발 진행상황 : 서울 북부의 신흥 주거 중심지

E.Tong 2025. 4. 7.

 서울 성북구 장위동 일대에 위치한 장위 뉴타운은 서울 북부를 대표하는 대규모 재개발 프로젝트로, 약 2만 4,000가구의 주택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요.

 

 교통, 교육, 편의 시설, 자연환경이 고루 갖춰질 예정이며, 완공 후에는 서울 북부 최대의 신도시급 주거타운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당신의 아파트 MBTI, AI부동산에서 확인하기

 

장위 뉴타운 사업

 장위 뉴타운은 서울의 주거 문제 해결을 위해 기획된 재개발 사업인데요.

위치: 성북구 장위동 일대

규모: 약 15개 구역, 3만여 세대 완공 예정

주요 특징: GTX-C 노선, 동북선 경전철 등 교통 호재와 북서울 꿈의숲, 오동근린공원 등의 풍부한 녹지 인프라

 

장위 뉴타운 구역별 지도

재개발 현황

: 장위 뉴타운은 15개 구역으로 나뉘어 각기 다른 진행 상황을 보이고 있는데요.

1.완료된 구역

: 장위 1,2,5,7 구역은 재개발이 완료되었습니다.

 

- 장위1구역

: 2019년 입주 완료, 래미안 장위포레카운티

 

- 장위2구역

: 2017년 입주 완료, 꿈의숲 코오롱하늘채

 

- 장위5구역

: 2019년 입주 완료, 래미안 장위퍼스트하이

 

- 장위7구역

: 2020년 입주 완료, 꿈의숲 아이파크

 

2. 진행중인 구역

: 장위 4,6,10 구역은 현재 재개발이 진행중입니다.

 

- 장위4구역

: 장위자이 레디언트 / 2,840세대 / 2025년 4월 입주 진행중

 

*하지만, 24.11월 4구역 조합과 GS건설 간 공사비 조정 회의에서 합의를 도출하지 못해서 문제가 있었습니다.

👉기사: "200억 중재 불가"… '공사중단 예고' 장위4구역 긴장 고조

 

- 장위6구역

: 푸르지오 라디우스파크 / 1,637세대 / 2027년 3월 입주예정

 

푸르지오 라디우스파크 조감도, 평면도

 

- 장위10구역

: 2,004세대 / 2025년 착공예정 (2029년 준공)

 

3. 재추진 구역

: 장위 8, 9, 15구역은 재개발을 재추진하는 구역입니다.

 

- 장위8구역 & 장위9구역

: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선정되어 재개발 진행 중.

 

- 장위15구역

: 2024년 재개발 확정, 약 3,300가구 규모

👉 기사 : 1구역 2조합 문제 해결 중

 

4. 기타구역

- 장위3구역

: 조합설립인가 취소로 진행 지연.

 

- 장위11구역

: 역세권 장기전세주택 사업 검토 중.

 

- 장위12구역

: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추진 중.

 

- 장위13구역

: 신속통합기획을 통해 재개발 재추진.

 

장위 뉴타운 가치

1.교통 접근성

: 장위 뉴타운은 GTX-C 노선과 동북선 경전철 개통 예정으로 교통 접근성이 대폭 향상될 예정인데요.

 

GTX-C 노선으로 강남 및 주요 거점 지역까지 접근성을 대폭 개선되며, 동북선 경전철로 서울 동북부 대중교통 이용 편리성 증가할 것입니다.

 

GTX-C노선, 동북선 경전철

 

2. 생활인프라

: 녹지공간으로 북서울 꿈의숲, 오동근린공원이 있으며,  지역 내 초중고 및 인근 대학이 위치해 있습니다. 또한 장위뉴타운 상권 개발로 상업시설 확충될 예정입니다.

 

👉 장위 뉴타운 분양 일정 확인하기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장위 뉴타운 투자 시 유망한 구역은 어디인가요?
A1. 현재 기준에서 투자 가치가 높은 구역은 장위6구역과 장위10구역입니다.

 

 장위6구역(푸르지오 라디우스파크)는 1,600세대 이상 대단지에 브랜드 프리미엄이 있는 대우건설이 시공하며, 2027년 3월 입주 예정입니다.
 
 또한 장위10구역은 2025년 착공 예정, 2029년 준공 예정으로 아직 분양 전이라 청약 기회를 노릴 수 있는 구역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Q2. 장위4구역 현재 상황은 어떤가요?
A2. 도로 및 공원 건설 마무리로 인해 입주가 불가능할 뻔 한 상황도 있었지만, 현재는 임시사용승인을 받아 입주 진행중입니다.

 

출처

땅집고의왕시 / 이데일리

 

댓글